|
해외 민간단체 지원 |
“해외 민간단체 지원을 통해 한국바로알리기 사업의 외연을 확장합니다.”
 주변국에 의한 역사 왜곡에 전문적으로 대응하거나 한국 역사 및 문화 자료 개발·배포에 참여하는 민간단체, 학회, 온라인 혹은 기타 멀티미디어를 통해 한국을 홍보하고, 한국 관련 정보를 개선하는 해외 민간단체와 학회 및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예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해외 민간단체 지원 절차 해외 민간단체 지원은 매년 3월 중순경에 국제교류처 홈페이지를 통해 공모를 하며, 지원신청서는 우편 및 e-mail을 통해 신청을 받습니다. 4월 말경 “해외 민간단체 지원사업 심의위원회”에서 지원 단체를 최종적으로 선정하며, 지원하게 될 예산액은 선정된 단체의 자금운영 계획의 적정성·타당성·창의성·한국바로알리기사업과 의 연관성 및 기대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별적으로 통보합니다.
2019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연구소 | 러시아 카잔 지역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과서 세미나 [사업결과물 보기] | 2 | 테라호테 한국어 센터 | 테라호테시 내의 한국 바로 알리기 [사업결과물 보기] | 3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| 제7회 마케도니아국립대학교 "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움과 한국문화 주간" [사업결과물 보기] | 4 | 키르키즈 한국대학 (Kyrgyz Korean College) | 올바른 한국 문화-경제 발전상 홍보를 위한 행사 및 세미나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
2018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연구소 | 러시아 카잔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한국 사회와 문화 교육 세미나 : 양국 교과서 개선 방안 [사업결과물 보기] | 2 | 테라호테 한국어센터 | 테라호테시 내의 교육관계자를 위한 워크숍 및 한국 홍보 행사 [사업결과물 보기] | 3 | 데즈카야미가쿠인대학 동아시아전공 한국어 과정 | 일본 간사이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체험 행사 [사업결과물 보기] | 4 | 세계한인교육자네트워크(International Korean Educators Network) | 한국을 알다 : 한국문화, 사회, 경제, 언어와 한류 [사업결과물 보기] | 5 | 나이로비대학교 | Korean Hug in Kenya [사업결과물 보기] | 6 | 타슈켄트주 니자미 교육대학교 | Guide book for those who is participating in Program of technical training in Korea [사업결과물 보기] | 7 | 중국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센터 |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교재 편찬 및 개발 [사업결과물 보기] | 8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| 제6회 마케도니아국립대학교 "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움과 한국문화주간" [사업결과물 보기] |
2017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한국-불가리아 교육기관 연합 (한국 외국어 대학교 불가리아어학과와 불가리아 3개 대학교 한국학과 연합) | 불가리아 초,중,고등학교 교사를 위한 세미나(불가리아 내 한국알리기) [사업결과물 보기] | 2 | Kwiaty Orientu (publisher) | Readings Korean books in Polish schools [사업결과물 보기] | 3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(Faculty of Philology, Ss. Cyril and Methodius University, Macedonia) | 제5회 마케도니아국립대학교 “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움과 한국문화 주간” [사업결과물 보기] | 4 | 세계한인교육자네트워크(International Korean Educators Network) | 미주 초중고 교육자 대상 한국알리기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5 |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연구소 | 러시아 카잔 지역 중고등학교 교사를 위한 한국관련 교육세미나 : 양국 교과서 개선 방안 [사업결과물 보기] | 6 | 치앙라이라차팟대학교 인문대학 한국어학과 | 태국 초, 중, 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의 신화에 대한 도서 편찬 [사업결과물 보기] |
2016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나이로비대학교 한국학과 | 우리동네 속 한국 [사업결과물 보기] | 2 | 한국-불가리아 교육기관 연합 | 불가리아 초,중,고 대학교 교사 대상 한국 바로 알리기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3 | 베트남 하노이 사범대학 동아시아 연구소 | 한․베트남 공동 역사 교재 제작 [사업결과물 보기] | 4 | 코리아NGO센터 | 재일동포 인생의 이야기 수집 사업 [사업결과물 보기] | 5 | 국제청년네트웍협회 산하 한국학 연구소 | 한국의 대표 명소 안내 자료–터키어 [사업결과물 보기] | 6 | 세계한인교육자네트워크 International Korean Educators Network(IKEN) | 미주 초중고 교육자 대상 한국알리기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7 | 카잔연방대학교 한국학연구소 | 따따르스탄공화국의 초중고등학교 교사세미나 [사업결과물 보기] | 8 | Tashkent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named after Nizami (타슈켄트주 니자미교육대학교) | Elaboration of educational aids on History of Korea” in Russian and Uzbek languages [사업결과물 보기] | 9 | 세종문화회 | “영 시조를 노래로 만들기” [사업결과물 보기] |
2015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세계한인교육자네트워크 | 미주 한국바로알리기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2 | 비즈카야 대학교 | "한국: 성공적인 교육 경험과 도전“ 전문가 과정 교육과정 개발 사업 [사업결과물 보기] | 3 | 타슈켄트주 니자미 교육대학교 | Elaboration of textbook “Korean business culture and business language” [사업결과물 보기] | 4 | 국제청년네트웍협회 산하 한국학 연구소 | 한국 역사 개론서 (터키어) [사업결과물 보기] | 5 | 한국-불가리아 교육기관 연합 (한국 외국어 대학교 불가리아어학과와 불가리아 3개 대학교 한국학과 연합) | 불가리아 초,중,고 대학교 교사 대상 한국 바로 알리기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6 | 한글 바로 알리기 교육 문화원 | 한국 문화를 바로 알리기 위한 한국어 강의에서 한국예절 학습 콘텐츠 개발 및 각 학교 및 기관에 보급 [사업결과물 보기] | 7 | 호치민사범교육대 한국학 센터 | 한국의 주간 – 환상적인 한국 [사업결과물 보기] | 8 | 재일코리안청년연합 | 해방70년, 한일 미래세대를 위한 재일코리안 역사 프로젝트 [사업결과물 보기] | 9 | 세종문화회 | “영 시조를 노래로 만들기” [사업결과물 보기] | 10 | 인도네시아 한국학교육학회 | 한국 바로 알리기를 위한 학술대회 개최 [사업결과물 보기] | 11 |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NGO포럼(한국) 후대사랑과 사회봉사를 실천하는 모임 (중국) | 바른 역사인식 증진을 위한 한-중 민간단체 교류사업 [사업결과물 보기] |
2014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International Korean Educators Network (IKEN) 세계한인교육자연합회 | 미주 한국바로알리기 프로젝트 | 2 | Auburn Univ. college of Education (Global Studies in Education-South Korea) | 미국 알라바마주 학생과 교사를 위한 한국관련 수업자료 개발 및 활용 | 3 | Sejong Cultural Society (Chicago) | Korean Literature and Sijo Writing for Teachers | 4 | 하노이 사범대학 동아시아 연구소 | 한·베트남 공동 역사 교재 제작 | 5 | 한글 바로 알리기 교육 문화원 | 한류 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 문화 및 한글 바로알리기 | 6 | Faculty of Philology, Ss. Cyril and Methodius University, Macedonia | 제4회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주최 “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엄과 한국문화 주간” | 7 | Kyrgyz-Korean College(KKC) | 찾아가는 한국 경제, 문화 교실 | 8 | 국립경영대학교 한국학교육원 | 한국에 관한 에세이 쓰기와 말하기 대회 | 9 | 불가리아 내 한국어 교육기관 연합 | 불가리아 역사 교과서 왜곡대책 및 불가리아 내 한국 알리기 프로젝트 | 10 | Forum Bangun Aceh(FBA) | Understanding Korea through the Eyes of Muslim | 11 |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코리아 NGO센터 | 일본공립학교 한국이해교육 촉진사업 | 12 | 재일코리안청년연합회(KEY) | 재일코리안 가정에 잠자고 있는 역사자료 발굴 사업 |
2013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International Korean Educators Network (IKEN) 세계한인교육자연합회 | 미주 한국바로알리기 프로젝트 | 2 | 하노이 사범대학 사회과학원 아시아 연구소 | 한·베트남 공동 역사 교재 제작 | 3 | 워싱턴지역 정신대문제 대책위원회 | 세계 2차 대전 일본군 위안부 추모비 건립 및 계몽행사 | 4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| 제3회 마케도니아국립대학교 주최 “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움과 한국문화주간” | 5 | 중국운남한국어교육학회 | 중국 서남지역 제2회 한국어말하기대회 | 6 | Korean Cultural Center - Mariana Islands(한국문화원 - 마리아나제도) | 미리아나 제도에서 한국바로알리기 사업 | 7 | 한글 바로 알리기 교육 문화원 | 한국문화 및 한글 바로 알리기 | 8 | 불가리아 소피아 “윌리엄그라드스톤” 18번 외국어학교 한국어과 | 불가리아 내 한국 바로알리기 프로젝트 | 9 | Spotlight Korea | The Korean American Project | 10 | Kyrgyz-Korean College(KKC) | 찾아가는 한국 경제, 문화교실 | 11 | C & C | 한국전 : 캐나다 한인 1세의 참전기를 중심으로 | 12 | 국립경영대학교 한국학교육원 | 한국에 관한 에세이 및 말하기 대회 |
2012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TUNKOR 한국-튀니지 친선협회 | 한국역사, 문화 및 한국어 알리기 | 2 | Korea Academy for Educators(KAFE) | 미국 공립학교 교육국 한국바로알리기 프로그램 | 3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| 제2회 마케도니아국립대학교 "바른 한국알리기 심포지움과 한국문화 주간" | 4 | 한베언어문화연구소 | 한국문학을 찾아서 | 5 | 한국협력센터(라오스 수파노봉 대학교) | 라오스 한국바로알리기 사업 : 한국 문화 축제 및 교재 보급 | 6 | 워싱턴지역 정신대문제 대책위원회 | 세계 2차 대전 중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세미나 및 출판 | 7 | 한국문화원(대련외국어대학 부설) | 한국바로알리기사업 | 8 | The korean-European Cultural Dialogue House (ALTHAEA) 한국-유럽 문화 대화의 집 | 독일어권 교과서 한국내용 바로잡기 - 제 2차 위크숍 | 9 | 중국 운남 한국어 교육학회 | 중국 서남지역 제1회 한국어 말하기 대회 | 10 | Korean Cultural Center - (CNMI) 한국문화원(태평양북마리아나제도) | 마리아나제도에서 한국 바로알리기 사업 |
2011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Asia & Us (아시아와 우리) | 미국 초․중․고등학생을 위한 대한민국의 올바른 역사자료의 영문 교육계획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영문 웹사이트 개발 | 2 | Korea Academy for Educators (KAFE) 교육자를 위한 한국학회 | 미국공립학교 교육국 한국바로알리기 프로그램 | 3 | 한국협력센터 (라오스 수파노봉 대학교) | 라오스 내 한국바로알리기사업 | 4 |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인문대학 | 제1회 마케도니아 국립대학교 Korea Culture Week | 5 | 북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| 중국학생용 한국문화 강독교재 개발 | 6 | 페루 한국어학당 | 한국문화, 한글, 독도, 동해표기 홍보물 배포사업 | 7 | 한국문화센터 | 한국문화센터 한국어/체코어 뉴스레터 나눔터 발간 사업 및 체코어-한국어 강좌개설 | 8 | 노브고로드한국문화센터 | 러시아 벨리끼 노브고로드주에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, 역사 알리기 |
2010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교육자를 위한 한국학회 Korean Academy for ducation(KAFE) | 미국공립학교 교육국 한국바로알리기 프로그램 | 2 | The Korea Society | 신라의 황금유물과 비단의 길(영상물) | 3 | 한베언어문화연구소 | 한국의 멋-세계 속의 한국 | 4 | 한국문화센터(체코) | 체코-한국 소식지 "나눔터" 온라인 웹진 재구축사업 | 5 | 재태국한국어교원협의회 | 2010년도 재태국한국어교원연수 | 6 | 타슈켄트주말한글학교 | 중앙아시아인 대상 한국바로알리기 사업 | 7 | 페루 한국어학당 | 페루 한국어학당 | 8 | 한국-유럽 문화센터 The Korean-European Cultural Dialogue House(ALTHAEA) | 한국의 지역문화축제-문화외교정보시리즈 I (영문저술사업) |
2009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Korea Academy for Educators | 미국 캘리포니아주 역사/사회 과목 교과과정 수정작업에 한국역사문화 포함을 반영하기 | 2 | The Korea Society | 조선과 성리학의 발전에 대한 연구 | 3 | Republik Center of Education |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한국 소개하기 | 4 | 한베언어문화연구소 | 한국요리 소개를 통한 한국문화알리기 | 5 | 재아르헨티나 이민문화연구원 | 아르헨티나 내 한국바로알리기 사업 | 6 | 밀라노 한이문화연구원 | 한국의 문화유산, 전통양식에 대한 이태리어판 책자 최초간행 | 7 | 한국문화원(대련외국어대학 부설) | 중국에 한글 소개하기 |
2008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Korea Academy for Educators | ‘미국 교육자들을 위한 한국 알리기 세미나’ 프로젝트 | 2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UCC를 통한 한국바로알리기사업 | 3 | Korean-American Education Foundation of Georgia | 2008 Know Korea (‘2008KK’) 프로젝트 | 4 | The Korea Society | The Time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(웹사이트 콘텐츠 개발사업) | 5 | Korea· Australasia Research Centre,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| 호주 지역 초· 중· 고교용 학습 자료에 나타난 한국 관련 오류 시정사업 | 6 |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| 동아시아 역사화해와 평화를 위한 한중일 대학생 평화포럼 개최 - ‘과거와 마주하여 동아시아의 화해와 평화를 생각하다!’ | 7 | Vienna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| 한국바로알리기사업(동해, 독도) | 8 | 한국아르헨티나협회 | 한국아르헨티나협회의 한국바로알리기사업 | 9 | 한국어학회 | 한글 바로 알리기 사업 | 10 | 귀한동포연합총회 | 조선족 중국동포를 위한 한국바로알리기 자료개발 및 교육사업 | 11 | 대련외국어학원 부설 한국문화원 | 한글의 우수성 홍보사업 |
2007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Korea Academy for Educators | ‘미국 교육자들을 위한 한국 알리기 세미나’ 프로젝트 | 2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한국바로알리기동아리 육성사업 | 3 | 대구한일관계사연구회 | 한일 근현대사 공통역사부교재 개발 | 4 | The Korea Society | Closing the Gate: Recovery, Isolation and Consolidation: Korea, China and Japan 1350-1650 Curriculum Project | 5 | Korea· Australasia Research Centre,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| 호주 지역 초· 중· 고교용 학습 자료에 나타난 한국 관련 오류 분석 및 그 시정을 위한 제안 프로젝트 | 6 | 한베언어문화연구소 | 한국의 전래이야기 번역, 출판 및 보급 |
2006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· ‘한국바로알리기동아리’ 육성사업 · 해외 ‘한국바로알기 커뮤니티’ 유치사업 · 사이버를 통한 한국바로알리기 활동자료 개발 및 보급 | 2 |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| ·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개최 · 동아시아 역사인식 공유를 위한 심포지엄 개최 · 한일시민활동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| 3 | 전국역사교사모임 | · 한일공동역사부교재 개발 | 4 | 한일공통역사부교재프로젝트팀 | · 한일공통역사인식을 위한 근현대사 부교재 개발 · 한중일 공동역사부교재 교육용 자료 개발 및 보급 | 5 | 경인교대 | · 독도 교수· 학습 자료 개발 |
2005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역사교육연구회 | 국제학술회의 개최 - ‘일본 역사교과서에 대한 한일 양국의 시각과 공동 대응 방안’ | 2 |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| 2005년 일본교과서 검정· 채택에 대비한 ‘새역모’ 교과서 분석 및 ‘불채택’을 위한 일본캠페인 프로젝트 | 3 | 전교조 대구지부 | 한일공동역사부교재 개발 사업 | 4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한국바로알리기 홍보자료 제작 및 국내외 동아리 결성과 운영자료 발간 | 5 |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| 일본역사왜곡 대응을 위한 교육자료 배포 |
2004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사단법인 동해연구회 | · 동해 명칭 되찾기 사업 | 2 | 대련외대 한국학연구소 | · ‘고급 대학한국어’ 교재 편찬 | 3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· 일본해 확산 저지 프로젝트 · 해외 인터넷 펜팔 사귀기 운동 · 인터넷 영문웹진 및 영자신문 발간사업 · 한국홍보사진 인터넷 갤러리 구축 프로젝트 | 4 | 한일지식인포럼21 | · 교과서 문제의 재검토와 한일연대의 가능성 탐구 프로젝트 | 5 | 가자마다대학 한국학센터 | · 한국사 교재 저술 | 6 |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(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) | · 한중일 공동 역사 부교재 개발사업 · 2005년 일본문부성 중학교 역사교과서 재검정 대비 한일 활동가 연대회의 프로젝트 | 7 | The Korea Society | · ‘신라와 실크로드’ (교안집 콘텐츠 개발사업) |
2003년
구 분 | 단 체 명 | 사 업 명 | 1 | 일본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| · 한중일 공동 역사 부교재 개발사업 · 한중일 국제심포지움 개최 - ‘동아시아 역사공동체 : 한중일 3국의 역사인식의 공유를 위해’ · 한일 청소년 역사체험 캠프 - ‘전쟁 없는 세상 우리가 만들어요!’ · 일본교과서 역사 왜곡 관련 주요자료 번역사업 · 번역출판사업 - ‘위험한’ 교과서를 만드는 사람들의 논리 | 2 | 평화문화연구센터 | ·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을 위한 남북공동 학술회의 | 3 |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| · 내 고장 포토제닉 (한국홍보엽서 제작 및 배포) · 오류시정 프로젝트 · 한민족 네트워크 구축 · 해외 e펜팔친구 사귀기 운동 | 4 | The Korea Society | · 한국학 교재물 웹사이트에 띄우기 | 5 | 한국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·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(공동) | ·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사 (역사 교재 간행사업) | 6 | 한일 역사교육 부교재 편찬위원회 | · 한일 역사교육 부교재 편찬사업 | 7 | 국제교과서연구소 | · 제11차 국제 역사교과서 학술회의 개최 | 8 | (사)동해연구소 | · ‘동해(East Sea)’ 명칭 되찾기 사업 | 9 | 한국독일사학회 | · 독일· 폴란드 문화교류와 한· 일 문화교류에 관한 비교 연구 |
|
|
|
|